라떼는말이야
[VMware] 우분투 환경에서 Bridged 네트워크 IPv4 주소 못받는 문제 본문
부록 B SIEM 구축을 위한 환경 구성 중..
VMware에 설치한 Ubuntu 환경에 기존의 NAT 네트워크에 Bridged 네트워크를 추가하고 터미널에서 ifconfig를 수행하였을 때 두 개의 네트워크를 가지기 때문에 NAT의 결과와 Bridged의 결과 둘 다 보여주는데 NAT에서는 IPv4 주소를 원하는 데로 받아왔지만 Bridged에서는 IPv4 주소를 못 받아오는 문제가 있었다.
~$ ifconfig
사진을 보면 ens33으로 나와있는 것이 NAT 네트워크이고, ens38로 나와있는 것이 Bridged 네트워크이다.
(ether로 나와있는 MAC 주소를 보고 구분할 수 있다.)
ens33에서 두 번째 줄에 inet으로 나와있는 것이 IPv4 주소인데 ens38에서는 IPv6인 inet6만 보일 뿐, IPv4는 받아오지 못하는 문제이다.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해보았다. (어느 방법이 통한 건지는 정확히 모르겠다)
첫 번째.
Virtual Network Editor 설정
[Edit] - [Virtual Network Editor...]
현재 Host-only 타입과 NAT 타입의 네트워크가 보인다.
NAT는 쉽게 말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라우터(공유기)로 들어오는 공인 ip를 사설 ip로 바꾸어 공유기에 연결된 호스트들에게 사설 ip를 할당해 주는 역할을 한다.
Host-only는 외부 네트워크와의 연결은 하지 않고 내부 호스트들, VMware 환경에서는 가상 환경끼리의 통신을 하도록 한다.
여기에 Bridged 타입을 추가할 것이다.
Bridged는 공유기 안쪽이 아닌 공유기와 동일한 위치로 인식시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host OS 환경에서의 IP주소와 영역이 같다. ( 윈도우의 경우 [cmd] - "ipconfig -all" 명령을 통해 IP와 MAC 주소를 확인 가능하다. )
오른쪽 아래에 보이는 [Change Settings]를 누른다.
그러고 나서 VMnet0을 Bridged로 바꿔주고 드롭박스에서 현재 Host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선택한 후 [Apply] - [OK] 하여 설정을 마친다.
참고로 Virtual Network Editor에 추가되어있는 저 3가지 네트워크 환경은 스위치의 역할을 한다.
VMnet0 - 연결을 사용할 때 사용하는 스위치. 호스트의 실제 네트워크 어댑터가 연결됨
VMnet1 - Host-only 연결할 때 사용하는 스위치. DHCP Server와 호스트의 VMnet1 네트워크 어댑터가 있다.
VMnet8 - NAT 연결할 때 사용하는 스위치. DHCP 서버와 NAT Server, 호스트의 네트워크 어댑터가 연결된다.
두 번째.
네트워크 연결 보기
[VMware Bridge Protocol]와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 체크박스를 체크한 후 확인을 누른다.
다시 VMware의 Ubuntu로 돌아가서 (혹시 모르니 재부팅을 한 후)
터미널에서 ifconfig 명령을 다시 수행해본다.
~$ ifconfig
위와 같이 ens33과 ens38 모두 IPv4 (inet) 주소를 받아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방법 1 수행이 안된다면 방법 2 수행 후 방법 1 수행해보길 바란다.
'프로젝트 > 인공지능 보안을 배우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아나콘다 설치 후 가상환경에서 jupyter notebook 실행 안되는 경우 해결방법 (0) | 2020.07.20 |
---|---|
핵심 머신러닝 기술 - 데이터 수집 단계, 특징 공학 (0) | 2020.07.08 |
정보 보안 분야의 인공지능 (0) | 2020.07.07 |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지도학습, 비지도학습, 강화학습), 딥러닝 (0) | 2020.07.07 |
[Ubuntu] 우분투에서 아나콘다 설치하기 (0) | 2020.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