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떼는말이야
주식의 보조지표 간단 정리 본문
이동평균선
단위 기간동안의 평균 주가의 시계열
주로 5, 20, 60, 120일 등이 대표적
봉 차트에 같이 그릴 수 있음
지수이동평균선(exponential moving average, EMA)
일종의 이동평균선
최근 가격을 더 중요하게나타내기 위해 가중치를 둔다
주로 20, 30, 90, 200일 등 등이 대표적
봉 차트에 같이 그릴 수 있음
볼린저밴드(Bolinger band)
주가의 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표준편차 범위를 표시
LBB에 가까워지면 이후에 주가가 상승, UBB에 다다르면 주가가 하락하는 패턴
차트에 같이 그릴 수 있음
이동 평균 수렴 확산(moving average convergencew divergence. MACD)
2개의 장단기 지수이동평균선으로 모멘텀을 추정하는 보조지표
주로 EMA12를 단기선으로, EMA26을 장기선으로 사용
봉 차트위에 그리지 않는다 (주가와 값의 스케일이 다름)
검정선이 MACD, 회색선이 MACD Signal
보통 MACD 선이 시그널 선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 하향 돌파하면 매도 사인
상대강도지수(relative strength index, RSI)
과열(과매수)이나 침체(과매도) 국면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조지표
주로 RSI가 70이상이면 과열구간 -> 매도 사인
RSI가 30 이하면 침체구간 -> 매수 사인
MACD와 함께 사용하면 사인이 맞을 확률이 더 높다고 알려져 있음
차트 패턴 (검은색 - 하락, 흰색 - 상승)
- Three Line Strike
3번의 하락 이후 상승이 나오는 패턴
주가 하락 추세에서 3번의 하락 추세가 나오는데 하락 정도가 점점 줄어들 때 이후 시가는 전날 종가보다 낮지만 상승하여 3번의 하락이 시작될 때의 가격까지 오르는 패턴 (83% 정확도라고 한다)
- Two Black Gapping
상승 추세에서 상당히 높이 올라왔을 때 중요한 캔들이 나온 이후 두 번의 큰 갭이 생기는 패턴
이후 계속적인 하락 추세로 진행될 수 있음 (68% 정확도라고 한다)
- Three Black Crows
이 패턴이 보인다면 계속적인 하락이 시작될 수 있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78% 정확도라고 한다)
- Evening Star
이 패턴은 장대양봉으로 최고점을 갱신하는 패턴이다. 이후 다음 거래일에 갭을 띄우고 더 상승했다가 너무 높아진 가격에 위축되는 투자심리에 매물이 쏟아지는 패턴이다 (72% 정확도라고 한다)
- Abandoned Baby
하락 장에서 갭을 띄우고 더 큰 하락이 나온 이후에 가격이 낮아졌다고 판단한 시장이 매수세로 전환하면서 상승장으로 바뀌는 패턴이다 (49.73% 정확도라고 한다)
참고 자료
|
www.investopedia.com/articles/active-trading/092315/5-most-powerful-candlestick-patterns.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