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Kotlin (20)
라떼는말이야
Room은 안드로이드 개발 중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만약 기기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없을 때 오프라인 상태인 동안에도 사용자가 여전히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으며 나중에 기기가 다시 온라인 상태가 되면 콘텐츠 변경사항이 서버에 동기화된다. Room은 위와 같은 문제를 자동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개발자 페이지에서는 SQLite 대신 Room을 사용할 것을 적극적으로 권장한다고 되어있다. 우선 Room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환경 설정이 필요하다. 환경 설정 프로젝트 창을 보면 Gradle Scripts 내부에 build.gradle (Module: 앱 이름.app) 이 있다. plugins 추가 가장 상단에 plugins가 있는데 id 'kotlin-kapt' 를..
Collections 대부분의 언어에는 Collections라는 개념이 존재한다. Collection이란 일반적으로 같은 타입의 Object를 포함한다. (0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언어마다 조금씩 다른 특징을 가진다. Collection에 들어간 Object는 elements(요소)나 items으로 불린다. 코틀린의 Collection type 코틀린에서는 3 종류의 Collection type이 있다. List Set Map List 인덱스로 접근 가능한 순서가 있는 collection이다. 요소들은 중복으로 들어갈 수 있다. 파이썬의 Tuple과 비슷하다. (뒤에 나오는 MutableList는 파이썬의 List와 비슷하다) Set 유일한 elements의 collection이다. 즉, List..
기본 드라이브가 아닌 외장 SSD 혹은 외장하드에서 프로젝트 작업을 하다가 오류가 발생하셨나요? 이번주에 코틀린을 새로 공부하기 시작했다. 커넥트 재단 - 부스트 코스에서 코틀린 기본 문법을 학습 후 패스트캠퍼스에서 처음으로 유료 온라인 강의를 신청했다. 학원따위 다니지 않아도 된다는 신념이었는데, 막상 졸업까지 한 학기만 남겨놓은 상태에서 독학으로 수많은 기술 스택을 쌓을 생각에 아찔해져서 결제하게 되었다. 물론 커리큘럼이 너무나 마음에 들었다. 앞으로 강의를 들으며 만들어질 중간 산출물들을 종종 블로그에 올리려고 한다. 어쨌든, 호기롭게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열어서 프로젝트를 새로 만들었다. 이전에 부스트코스에서 자바로 안드로이드 강의를 들을 때는 이미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버전 차이 때문에 UI 차이..
커넥트재단 부스트코스의 코틀린 프로그래밍 기본1 강의를 들으며 처음 마주한 오류이다. 우선 영상이 올라온 상반기에 비해 현재 인텔리제이의 UI가 달라져서 완전히 똑같이 따라가지 못했다. 오류 내용 웃긴 것은 프로젝트를 생성 후 같이 팜플렛으로 생성되는 코틀린 소스를 실행시키면 정상적으로 "hello world"를 찍는다. 그런데 한번 더 실행시키면 그 이후부터는 위와 같은 오류가 뜬다. 시도한 방법 환경 변수 설정 문제인가 싶어서 환경 변수도 여러 번 다시 실행시켜보고 기존에 사용하던 JDK와 충돌이 일어난 것인가 싶어서 기존에 사용하던 JDK도 다 삭제했다. 그 외에 구글링해서 나온 결과들을 다 해봤지만 실패였다. 해결 방법 강의에서는 좌측 메뉴에서 Kotlin탭에서 선택하도록 설명해주셨다. 그래서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