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Python (229)
라떼는말이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ROK1/btq7KmQS4Zt/KV9nlT0BQQmRVUjRZzYE1K/img.png)
문제 설명 배열 arr가 주어집니다. 배열 arr의 각 원소는 숫자 0부터 9까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때, 배열 arr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숫자는 하나만 남기고 전부 제거하려고 합니다. 단, 제거된 후 남은 수들을 반환할 때는 배열 arr의 원소들의 순서를 유지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arr = [1, 1, 3, 3, 0, 1, 1] 이면 [1, 3, 0, 1] 을 return 합니다. arr = [4, 4, 4, 3, 3] 이면 [4, 3] 을 return 합니다. 배열 arr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숫자는 제거하고 남은 수들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배열 arr의 크기 : 1,000,000 이하의 자연수 배열 arr의 원소의 크기 : 0보다 크거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vuP1S/btq7PMVlji6/xp6KnfqPhWzR1fmh6W7UgK/img.png)
문제 설명 두 수를 입력받아 두 수의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보세요. 배열의 맨 앞에 최대공약수, 그다음 최소공배수를 넣어 반환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두 수 3, 12의 최대공약수는 3, 최소공배수는 12이므로 solution(3, 12)는 [3, 12]를 반환해야 합니다. 제한 사항 두 수는 1이상 1000000이하의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나의 풀이 from math import gcd # python 3.9 부터는 math.lcm 사용 가능 def solution(n, m): return [gcd(n, m), n * m // gcd(n, m)]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의 개념을 알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 추가 (라이브러리 사용 x) def solut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e1Je2/btq7Ny4lhrQ/pzLAOEX1arCQZkIZzb8qX0/img.png)
문제 설명 정수 num이 짝수일 경우 "Even"을 반환하고 홀수인 경우 "Odd"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제한 조건 num은 int 범위의 정수입니다. 0은 짝수입니다. 입출력 예 나의 풀이 def solution(num): return "Odd" if num % 2 else "Even" 딱히 설명할 필요 없을 것 같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Tqo0v/btq7Qw5xdAv/FszaTqY7Yie2cxGTGXg3u0/img.png)
문제 설명 자연수 n을 뒤집어 각 자리 숫자를 원소로 가지는 배열 형태로 리턴해주세요. 예를들어 n이 12345이면 [5,4,3,2,1]을 리턴합니다. 제한 조건 n은 10,000,000,000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나의 풀이 def solution(n): return list(map(int, str(n)[::-1])) 문자열에[::-1]를 하면 역순으로 뒤집어 진다. 이 결과를 map() 으로 int()에 매핑시킨 후 list() 함수에 넣으면 답이 나온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5KcUN/btq7PTUbUpj/LhWODkIpok9x1BlAmklDg0/img.png)
문제 설명 문자열 s에 나타나는 문자를 큰것부터 작은 순으로 정렬해 새로운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s는 영문 대소문자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대문자는 소문자보다 작은 것으로 간주합니다. 제한 사항 str은 길이 1 이상인 문자열입니다. 입출력 예 나의 풀이 def solution(s): return ''.join(sorted(list(s), reverse = True)) 문자열을 리스트로 저장한 후 sorted(list, reverse=True) 함수로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이 결과로 나온 리스트를 ''.join으로 하나의 문자열로 만들어 return 한다. 대문자는 소문자보다 ASCII 값이 작다. 그렇기 때문에 위 방법으로 정렬했을 때 대문자가 뒤로 간다. (내림차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iw5o/btq7RKI1bz7/qXMbcpSBmuK1zj0xjYqCY1/img.png)
문제 설명 문자열 s의 길이가 4 혹은 6이고, 숫자로만 구성돼있는지 확인해주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 들어 s가 "a234"이면 False를 리턴하고 "1234"라면 True를 리턴하면 됩니다. 제한 사항 s는 길이 1 이상, 길이 8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입출력 예 나의 풀이 def solution(s): return True if len(s) in [4, 6] and s.isdigit() else False 별 다른 설명이 필요 없을 듯 하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TZT9/btq7QwYM0zV/9hZcBDMXO93yiMYjMFKd8k/img.png)
문제 설명 함수 solution은 정수 n을 매개변수로 입력받습니다. n의 각 자릿수를 큰것부터 작은 순으로 정렬한 새로운 정수를 리턴해주세요. 예를들어 n이 118372면 873211을 리턴하면 됩니다. 제한 조건 n은 1이상 80000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나의 풀이 def solution(n): answer = sorted(list(str(n)), reverse=True) return int(''.join(answer)) 입력 받은 정수 n을 str() 함수에 넣어서 문자열로 만들어준 후 list() 함수에 넣어서 리스트로 만든다. 그리고 만들어진 list를 sorted 함수에 넣고, reverse = True로 옵션을 주면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리스트를 반환한다. 반환된 리스트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cXPG/btq7SEuY3n8/rDM9RKRxkeOqbTxPQiNkr0/img.png)
2019 KAKAO BLIND RECRUITMENT 문제입니다. 문제 설명 슈퍼 게임 개발자 오렐리는 큰 고민에 빠졌다. 그녀가 만든 프랜즈 오천성이 대성공을 거뒀지만, 요즘 신규 사용자의 수가 급감한 것이다. 원인은 신규 사용자와 기존 사용자 사이에 스테이지 차이가 너무 큰 것이 문제였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할까 고민 한 그녀는 동적으로 게임 시간을 늘려서 난이도를 조절하기로 했다. 역시 슈퍼 개발자라 대부분의 로직은 쉽게 구현했지만, 실패율을 구하는 부분에서 위기에 빠지고 말았다. 오렐리를 위해 실패율을 구하는 코드를 완성하라. 실패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스테이지에 도달했으나 아직 클리어하지 못한 플레이어의 수 / 스테이지에 도달한 플레이어 수 전체 스테이지의 개수 N,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