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문자열 (17)
라떼는말이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n3iyS/btq8FWcHOX2/fRoOl6tYy34mbolMoM1660/img.png)
월간 코드 챌린지 시즌1 문제입니다. 문제 설명 0과 1로 이루어진 어떤 문자열 x에 대한 이진 변환을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x의 모든 0을 제거합니다. x의 길이를 c라고 하면, x를 "c를 2진법으로 표현한 문자열"로 바꿉니다. 예를 들어, x = "0111010"이라면, x에 이진 변환을 가하면 x = "0111010" -> "1111" -> "100" 이 됩니다. 0과 1로 이루어진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s가 "1"이 될 때까지 계속해서 s에 이진 변환을 가했을 때, 이진 변환의 횟수와 변환 과정에서 제거된 모든 0의 개수를 각각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s의 길이는 1 이상 150,000 이하입니다. s에는 '1'이 최소 하..
문제 설명 문자열 s를 숫자로 변환한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제한 조건 s의 길이는 1 이상 5이하입니다. s의 맨앞에는 부호(+, -)가 올 수 있습니다. s는 부호와 숫자로만 이루어져있습니다. s는 "0"으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예를들어 str이 "1234"이면 1234를 반환하고, "-1234"이면 -1234를 반환하면 됩니다. str은 부호(+,-)와 숫자로만 구성되어 있고, 잘못된 값이 입력되는 경우는 없습니다. 나의 풀이 def solution(s): answer = 0 if s[0] in ('-', '+'): if s[0] == '+': return int(s[1:]) else: return -int(s[1:]) else: return int(s) 딱..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jroB/btq7EDLTxKA/iutsCmS7zW5ST2gppvx1t0/img.png)
문제설명 단어 s의 가운데 글자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만들어 보세요. 단어의 길이가 짝수라면 가운데 두글자를 반환하면 됩니다.재한사항 s는 길이가 1 이상, 100이하인 스트링입니다. 입출력 예 나의 풀이 def solution(s): return s[len(s) // 2] if len(s)% 2 else s[len(s) // 2 - 1]+s[len(s) // 2] s의 길이가 홀수라면 s[len(s) // 2] 를 return 하고, s의 길이가 짝수라면 s[len(s) // 2 - 1] + s[len(s) // 2] 를 return 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9Y7MM/btq7SGl3rbf/F9n36QxHF9lsgV1SQIQLe1/img.png)
문제 설명 문자열 s는 한 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는 하나 이상의 공백문자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의 짝수번째 알파벳은 대문자로, 홀수번째 알파벳은 소문자로 바꾼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제한 사항 문자열 전체의 짝/홀수 인덱스가 아니라, 단어(공백을 기준)별로 짝/홀수 인덱스를 판단해야합니다. 첫 번째 글자는 0번째 인덱스로 보아 짝수번째 알파벳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입출력 예 입출력 예 설명 "try hello world"는 세 단어 "try", "hello", "world"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의 짝수번째 문자를 대문자로, 홀수번째 문자를 소문자로 바꾸면 "TrY", "HeLlO", "WoRlD"입니다. 따라서 "TrY HeLlO W..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Tqo0v/btq7Qw5xdAv/FszaTqY7Yie2cxGTGXg3u0/img.png)
문제 설명 자연수 n을 뒤집어 각 자리 숫자를 원소로 가지는 배열 형태로 리턴해주세요. 예를들어 n이 12345이면 [5,4,3,2,1]을 리턴합니다. 제한 조건 n은 10,000,000,000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나의 풀이 def solution(n): return list(map(int, str(n)[::-1])) 문자열에[::-1]를 하면 역순으로 뒤집어 진다. 이 결과를 map() 으로 int()에 매핑시킨 후 list() 함수에 넣으면 답이 나온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5KcUN/btq7PTUbUpj/LhWODkIpok9x1BlAmklDg0/img.png)
문제 설명 문자열 s에 나타나는 문자를 큰것부터 작은 순으로 정렬해 새로운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s는 영문 대소문자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대문자는 소문자보다 작은 것으로 간주합니다. 제한 사항 str은 길이 1 이상인 문자열입니다. 입출력 예 나의 풀이 def solution(s): return ''.join(sorted(list(s), reverse = True)) 문자열을 리스트로 저장한 후 sorted(list, reverse=True) 함수로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이 결과로 나온 리스트를 ''.join으로 하나의 문자열로 만들어 return 한다. 대문자는 소문자보다 ASCII 값이 작다. 그렇기 때문에 위 방법으로 정렬했을 때 대문자가 뒤로 간다. (내림차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iw5o/btq7RKI1bz7/qXMbcpSBmuK1zj0xjYqCY1/img.png)
문제 설명 문자열 s의 길이가 4 혹은 6이고, 숫자로만 구성돼있는지 확인해주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 들어 s가 "a234"이면 False를 리턴하고 "1234"라면 True를 리턴하면 됩니다. 제한 사항 s는 길이 1 이상, 길이 8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입출력 예 나의 풀이 def solution(s): return True if len(s) in [4, 6] and s.isdigit() else False 별 다른 설명이 필요 없을 듯 하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xgixx/btq7KmJoaQv/LGOdoOKKM7Qkvs7yqZqBcK/img.png)
2017 팁스타운 문제이다 문제설명 짝지어 제거하기는,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진 문자열을 가지고 시작합니다. 먼저 문자열에서 같은 알파벳이 2개 붙어 있는 짝을 찾습니다. 그다음, 그 둘을 제거한 뒤, 앞뒤로 문자열을 이어 붙입니다. 이 과정을 반복해서 문자열을 모두 제거한다면 짝지어 제거하기가 종료됩니다. 문자열 S가 주어졌을 때, 짝지어 제거하기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 반환하는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면 1을, 아닐 경우 0을 리턴해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문자열 S = baabaa 라면 b aa baa → bb aa → aa → 의 순서로 문자열을 모두 제거할 수 있으므로 1을 반환합니다. 제한사항 문자열의 길이 : 1,000,000이하의 자연수 문자열은 모두 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