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372)
라떼는말이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QzMbh/btrnmOQNDFN/tYmXikAw4kQEhYCbNPpAKK/img.png)
시작하기 전에... 본 포스트에서 사용한 코드와 코드랩은 밑의 링크에서 다운 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일 액티비티(MainActivity.kt)로 구성되어 있는 앱입니다. 직접 따라하며 익혀도 되고 빠르게 개념만 익혀가도 좋습니다 😎👍 앞 부분은 로그를 남기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니 생명 주기에 대한 내용을 바로 보시려면 초록색으로 "액티비티 라이프 사이클" 라고 적힌 부분까지 쭉 내려가면 됩니다! 안드로이드 앱 GitHub - google-developer-training/android-kotlin-fundamentals-starter-apps: android-kotlin-fundamentals-starter-apps android-kotlin-fundamentals-starter-apps. Con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2zA3/btrlvAGkPP9/jvv8nj4PeBLTsCNmvCU9y0/img.png)
문제 철수의 토마토 농장에서는 토마토를 보관하는 큰 창고를 가지고 있다. 토마토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격자 모양 상자의 칸에 하나씩 넣어서 창고에 보관한다. 창고에 보관되는 토마토들 중에는 잘 익은 것도 있지만, 아직 익지 않은 토마토들도 있을 수 있다. 보관 후 하루가 지나면, 익은 토마토들의 인접한 곳에 있는 익지 않은 토마토들은 익은 토마토의 영향을 받아 익게 된다. 하나의 토마토의 인접한 곳은 왼쪽, 오른쪽, 앞, 뒤 네 방향에 있는 토마토를 의미한다. 대각선 방향에 있는 토마토들에게는 영향을 주지 못하며, 토마토가 혼자 저절로 익는 경우는 없다고 가정한다. 철수는 창고에 보관된 토마토들이 며칠이 지나면 다 익게 되는지, 그 최소 일수를 알고 싶어 한다. 토마토를 창고에 보관하는 격자모양의 상자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RBQMx/btrk8jAfW2T/fNRV1wORcrNxMnWjkxyxh0/img.png)
문제 수빈이는 동생과 숨바꼭질을 하고 있다. 수빈이는 현재 점 N(0 ≤ N ≤ 100,000)에 있고, 동생은 점 K(0 ≤ K ≤ 100,000)에 있다. 수빈이는 걷거나 순간이동을 할 수 있다. 만약, 수빈이의 위치가 X일 때 걷는다면 1초 후에 X-1 또는 X+1로 이동하게 된다. 순간이동을 하는 경우에는 1초 후에 2*X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수빈이와 동생의 위치가 주어졌을 때, 수빈이가 동생을 찾을 수 있는 가장 빠른 시간이 몇 초 후인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 번째 줄에 수빈이가 있는 위치 N과 동생이 있는 위치 K가 주어진다. N과 K는 정수이다. 출력 수빈이가 동생을 찾는 가장 빠른 시간을 출력한다. 예제 힌트 수빈이가 5-10-9-18-17 순으로 가면 4초만에 동생..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fKK14/btrj1MIQAmi/jUeqBao5HMVC0UBd0U1evK/img.jpg)
fun createNotificationChannel(context: Context) { try { if (Build.VERSION.SDK_INT >= Build.VERSION_CODES.O) { val notificationManager = context.getSystemService(Context.NOTIFICATION_SERVICE) as NotificationManager val notificationChannel = NotificationChannel( NOTIFICATION_CHANNEL_ID, "수업시작 알림", NotificationManager.IMPORTANCE_HIGH ) notificationChannel.description = "수업 시작 전 알림을 띄웁니다." notifica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fr4g/btrjjtdvM3u/CAiBnK0KQDmVzROs6KdL3k/img.png)
문제 각각 부피가 A, B, C(1≤A, B, C≤200) 리터인 세 개의 물통이 있다. 처음에는 앞의 두 물통은 비어 있고, 세 번째 물통은 가득(C 리터) 차 있다. 이제 어떤 물통에 들어있는 물을 다른 물통으로 쏟아 부을 수 있는데, 이때에는 한 물통이 비거나, 다른 한 물통이 가득 찰 때까지 물을 부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손실되는 물은 없다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다보면 세 번째 물통(용량이 C인)에 담겨있는 물의 양이 변할 수도 있다. 첫 번째 물통(용량이 A인)이 비어 있을 때, 세 번째 물통(용량이 C인)에 담겨있을 수 있는 물의 양을 모두 구해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세 정수 A, B, C가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공백으로 구분하여 답을 출력한다. 각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hgOjD/btriDxOai1J/cn4qQfzQTIUFzZPNVV9yO1/img.png)
오늘은 5번째로 풀이했습니다 ^^ 문제 설명 XX게임에는 피로도 시스템(0 이상의 정수로 표현합니다)이 있으며, 일정 피로도를 사용해서 던전을 탐험할 수 있습니다. 이때, 각 던전마다 탐험을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필요 피로도"와 던전 탐험을 마쳤을 때 소모되는 "소모 피로도"가 있습니다. "최소 필요 피로도"는 해당 던전을 탐험하기 위해 가지고 있어야 하는 최소한의 피로도를 나타내며, "소모 피로도"는 던전을 탐험한 후 소모되는 피로도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최소 필요 피로도"가 80, "소모 피로도"가 20인 던전을 탐험하기 위해서는 유저의 현재 남은 피로도는 80 이상 이어야 하며, 던전을 탐험한 후에는 피로도 20이 소모됩니다. 이 게임에는 하루에 한 번씩 탐험할 수 있는 던전이 여러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25fu/btrhzRS6E4I/f1gzKSpc6TTzPiCegQWYi0/img.png)
문제 설명 가로 길이가 2이고 세로의 길이가 1인 직사각형모양의 타일이 있습니다. 이 직사각형 타일을 이용하여 세로의 길이가 2이고 가로의 길이가 n인 바닥을 가득 채우려고 합니다. 타일을 채울 때는 다음과 같이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타일을 가로로 배치 하는 경우 타일을 세로로 배치 하는 경우 예를들어서 n이 7인 직사각형은 다음과 같이 채울 수 있습니다.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이 직사각형을 채우는 방법의 수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가로의 길이 n은 60,000이하의 자연수 입니다. 경우의 수가 많아 질 수 있으므로, 경우의 수를 1,000,000,007으로 나눈 나머지를 return해주세요. 입출력 예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GkUr/btrhjsmZusF/E05k9GfrLz4kKVB1kIdIi0/img.png)
13번째로 풀이했습니다! 도움이 됐으면 MANGBAAM 좋아요 부탁드려요 전체 코드는 맨 밑에 있습니다 문제 설명 Ax + By + C = 0으로 표현할 수 있는 n개의 직선이 주어질 때, 이 직선의 교점 중 정수 좌표에 별을 그리려 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직선 5개를 2x - y + 4 = 0 -2x - y + 4 = 0 -y + 1 = 0 5x - 8y - 12 = 0 5x + 8y + 12 = 0 좌표 평면 위에 그리면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이때, 모든 교점의 좌표는 (4, 1), (4, -4), (-4, -4), (-4, 1), (0, 4), (1.5, 1.0), (2.1, -0.19), (0, -1.5), (-2.1, -0.19), (-1.5, 1.0)입니다. 이 중 정수로만 표현되..